수배전반 및 발전기 설치공사 |
| |
|
| |
|
|
1. 일반사항 |
2. 수,배전반공사 |
3. 변압기반 공사 |
4. 발전기공사 |
5.옥외전기공사 |
1.1 공사의 개요 |
2.1 제작도면검토/ |
3.1 제작도면검토/승인 |
4.1 제작도면검토/승인 |
5.1 부스덕트공사 |
1.2 공사의 종류 |
2.2 중간제작감리 |
3.2 변압기 설치 |
4.2 중간제작감리 |
5.2 전력인입공사 |
1.3 공사흐름도 |
2.3 수배전반 설치 |
|
4.3 발전기 설치 |
5.3 전력제어공사 |
1.4 타공종 협의사항 |
2.4 시운전 및 조정 |
|
4.4 시운전 및 조정 |
5.4 케이블헤드의 시공 |
|
2.5 수전 후 관리 |
|
|
1. 일반사항
1.1 공사의 개요
전력을 수전하여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배전반과 정전시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발전기는 전기설비 중 가장 중요한 설비로서, 전기안전공사의 사용 전 검사의 대상설비이다.
따라서 이러한 중요설비의 설치공사가 지연되는 경우 승강기 완성검사, 각종 시설의 시운전 지연 등 후속 공정진행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기기의 제작 및 설치에 만전을 기하여야 한다.
1.2 공사의 종류
가. 수배전반 공사
나. 변압기 공사
다. 발전기 공사
라. Bus Duct 공사
마. 전력인입 공사
바. 접지 및 제어 배관, 배선 공사
1.3 공사흐름도
전기공사 |
확인사항 | |||||
공사계획신고 |
제작도면 제출 |
― |
제작도면 검토 및 승인 | |||
↓ |
||||||
↓ |
제작 |
― |
제작감리 | |||
↓ |
||||||
자재반입 |
― |
검수 | ||||
↓ |
||||||
설치 |
― |
설치상태 확인 | ||||
↓ |
||||||
시운전 및 조정 |
||||||
↓ |
||||||
사용 전 검사 |
→ |
수전 |
그림 9.1 주요설비 공사흐름도
1.4 타공종 협의사항
1.4.1 건축
가. 전기실
- 1) 전기실 출입문
- ① 전기실 출입문은 변압기반의 반입이 가능하도록 설계하고 있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건축에서 설계변경하도록 요청한다.
- ② 수배전반 반입 전에 출입문 및 시건장치 설치를 요청한다.
- 2) 배수 트렌치
- 전기실에 배수 트렌치가 없는 경우 누수 및 결로 등에 대비하여 배수 트렌치 설치를 적극 요청한다.
- 3) 장비 반입구
- 보일러실이 없는 경우 전기실에 설치되는 장비 반입구 규격을 확인하여 확대 및 축소를 검토하고 장비 반입 후 즉시 뚜껑을 설치하도록 한다.
- 4) 바닥 마감
- 장비 반입 후 즉시 바닥 마감이 되도록 하여 먼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나. 발전기실
- 1) 발전기 및 운전반 기초
- 발전기 및 운전반 기초는 발전기 설치도면 승인 후 규격 및 위치를 건축에 통보하여 정확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 2) 급·배기구
- 발전기 가동시 충분한 급·배기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발전실 내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발전기 가동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건축 도면을 반드시 확인한다. (표 9.1)
표 9.1 급·배기구 규격
발전기용량(kW) |
급·배기구 규격(W×H)(m2) |
비 고 |
100∼300 |
4.5×0.36 |
|
350∼500 |
4.5×0.36 |
|
550∼700 |
4.5×0.36 |
|
750∼1,000 |
4.5×0.36 |
|
1,000 초과 |
4.5×0.36 |
|
- ① DA(Dry Area)의 급·배기가 분리되지 않거나 면적이 협소할 경우 발전기실 출입문 상부에 중력 댐퍼를 설치하여 급기량을 보충하도록 요청한다.
- ② 발전기 라디에이터(Radiator) 배기가 배기덕트를 통하여 직선으로 옹벽과 연결될 수 있도록 DA 깊이를 확인하고, 배기덕트용 옹벽 슬리브 규격 및 위치를 통보한다.
- 3) 발전기 연도
- ① 보일러실이 없는 경우 주민복지관 굴뚝 단면적을 검토하여 가스보일러 굴뚝과 발전기 연도용 굴뚝으로 구획 설치를 요청한다.
- ② 연도가 관통하는 옹벽 또는 조적벽에 개구슬리브 규격 및 위치를 통보하여 정확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 ③ 발전기 연도 소음기에 드레인을 설치하면 결로에 의해 물이 엔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 ② 연도가 관통하는 옹벽 또는 조적벽에 개구슬리브 규격 및 위치를 통보하여 정확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 4) 누유방지턱
- 누유방지턱은 규격이 유류탱크 용적 이상이면 되므로 500mm 정도 높이의 누유방지턱 설치를 요청한다.
- 5) 개구슬리브
- 발전기 배기덕트, 주유 및 통기배관용 개구슬리브를 설치하고, 설치 후 모르터 충전 마감하도록 요청한다.
1.4.2 기계
- 가. 기계배관 설치 금지
- 전기실 및 발전기실 상부에 기계배관이 설치되거나, 관통하지 않도록 한다.
- 나. 급유배관
- 급유(경유) 배관은 기계에서 발전기실 유류탱크까지 배관하도록 협의한다.(지역난방 및 개별난방 지구 제외)
- 다. 발전기 연도 접속
- 발전기 연도의 보일러 연도 접속위치를 확인한다.
2.. 수배전반 공사
2.1 제작도면 검토 및 승인
2.1.1 단일제작업체 납품 확인
수배전반은 품질경영촉진법에 의한 품질관리등급 또는 품질보증체제 인증을 획득한 단일제작업체의 납품여부를 확인한다.
2.1.2 제작도면의 종류
가. 제작시방서
나. 주요자재 목록(제작회사 및 카탈로그)
다. 외형도
라. 내부기기 배치 및 접속도
마. 결선도(단선결선도, 삼선결선도, 제어회로도)
2.1.3 제작시방서 검토
가. 제작시방서가 계약연도별 수배전반 구입시방서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나. 계약연도별 변경내용이 누락될 수도 있고 제작업체에서 수용하기 곤란한 내용을 삭제할 수도 있으므로 정확하게 확인한다.
다. 제작시방서 내용 중 구입시방서 이외의 사항을 정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작업체에 적용 가능여부를 확인한 후 승인한다.
2.1.4 주요자재목록 확인
가. 주요자재목록과 그 제작회사 및 카탈로그를 확인하므로써 사용자재의 적정성을 파악한다.(주요 자재목록 작성 사례 참조) (표 9.2)
표 9.2 주요자재 목록 예
번호 |
품명 |
규격 |
시험 |
제조자 |
비고 | |||
KS |
면제 |
자체 |
공인 | |||||
1 |
LBS |
25.8kV 630A 3P |
|
|
|
|
ABB |
외국제품 |
2 |
DS |
1P,3P ***A |
|
|
|
○ |
신우 |
|
3 |
LA |
18kV 2.5kA (W/DS) |
|
○ |
○ |
|
신아 |
|
4 |
MOF |
13,200/110V 30/5A |
|
○ |
○ |
|
삼능 |
|
5 |
PF |
25.8kV200AF |
|
○ |
○ |
|
중원 |
|
: |
|
|
|
|
|
|
|
|
- 나. 주요자재의 규격 및 특성은 카탈로그와 수배전반 구입시방서의 내용을 비교하여 확인한다.
- 다. 변환기(TD, Transducer)는 발전기 및 CRT(Cathode Ray Tube) 감시반과의 호환성을 확인하여 선정하되, 승강기 업체와 상호 협조하도록 하고, 동일회사의 제품을 사용한다.
- 라. 자재목록에는 KS, 공인기관시험, 제작회사 자체시험, 공인기관 인증시험 면제품 및 수입품 등으로 구분한다.
- 마. 자재목록의 기기별 시험성적서는 자재 납품과 동시에 제출케하여 확인하되 기재내용(시험일시, 납품처(소요공구명), 기기의 제작번호, 규격, 성능)이 누락된 사항이 없는지 확인한다.
- 라. 자재목록에는 KS, 공인기관시험, 제작회사 자체시험, 공인기관 인증시험 면제품 및 수입품 등으로 구분한다.
- 1) KS 제품:KS 표시허가증 사본
- 2) 공인기관 시험품:공인기관 시험성적서 원본
- 3) 제작자 자체시험품:제작자 자체시험 성적서 원본
- 4) 면제품:한국전기공업진흥회가 발행한 공인인증시험 면제증 사본 및 제작자 자체시험 성적서 원본
- 5) 수입품
- 2) 공인기관 시험품:공인기관 시험성적서 원본
- ① 일반적으로 수입면장으로 시험성적서를 대체하는 경우 수입면장에 기재된 내용은 화물명, 중량, 수량, 수입자, 관세율, 포장형태 등 시험성능과는 관계가 없으며, 외국 메이커들은 제품 출하시 통상적인 품질검사 시험성적서를 발행하므로 가능한 한 그 사본을 확보하여 최소한의 성능이라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② 부득이 수입 완제품을 사용할 경우에는 한국전기연구소, 한국전기연구소와 중전기기 시험에 관한 상호인증을 맺은 외국의 시험기관 및 중전기기 시험기준 및 관리요령 제9조의 규정에 의한 품질관리위원회에서 인증하는 시험기관의 시험성적서 여부를 확인한다.
2.1.5 외형도
- 가. 수배전반 배치
- 1) 수배전반 배치 시공도면에 의하여 열반순서를 확인한다.
- 2) 변압기반과 배전반을 연결하는 부스덕트가 꺽이지 않도록 ABC반과 MCB반 배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 경우 MCB반 내부 Bus의 연결여부를 확인한다.
- 3) 수배전반의 치수가 간혹 설계와 다른 경우가 있으므로 확인한다.
- 2) 변압기반과 배전반을 연결하는 부스덕트가 꺽이지 않도록 ABC반과 MCB반 배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이 경우 MCB반 내부 Bus의 연결여부를 확인한다.
- 나. 보호계전기 배치
- 보호계전기 UVR(Under Voltage Relay), OCR(Over Current Relay), OCGR (Over Current Ground Relay)의 배치가 설계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 다. 큐비클 상·하부 개구부
- 1) 상부 옥외 트레이 및 덕트용
- 옥외전기공사에서 수배전반 배치 시공도 작성시 결정된 트레이 및 덕트의 배전반 연결 내용을 제작도면에 표시하여 승인한다.(Open 부위는 BMC 등으로 마감하여 제작)
- 2) 부스덕트용
- 부스덕트는 옥외전기에서 발주하여 제작하므로 변압기반과 ACB(Air blast Circuit Breaker)반의 인출 부스바 규격, 부스바 간격, 접속볼트 규격, 인출 위치 등의 상세도 작성을 확인한다.
- 3) 접지 및 제어용 배관, 배선
- ① 각 패널 모서리 부위에 접지용 개구부의 위치를 시공도와 비교 확인한다.
- ② 수배전반, 감시반, 발전기반과의 제어용 배관, 배선의 인출 위치를 시공도와 비교 확인한다.
- 라. 연차사업지구
- 부하의 증설이 예상되거나 연차사업지구로서 변전실내 저압반 및 변압기반이 추가 설치되는 지구는 특고모선 등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접속 패널의 외측면은 조립식으로 제작한다.
2.1.6 기기배치 및 접속도
- 가. LBS반
- 1) LBS의 배치
- 아래 그림과 같이 내부공간 협소 또는 배선 곤란을 이유로 LBS(Load Break Switch)가 하부 투입되도록 제작도면에 표현하는 경우가 있으나 절체조작기어 고장시 자유낙하에 의한 사고 우려가 있으므로 수직 설치 시에는 반드시 상부 투입하도록 하고,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수평설치이다. 어느 경우이든 내부공간의 여유와 케이블 인입, Bus Bar 처리에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유의한다.(내선규정 700-6 참조)
|
그림9-2 LBS의 배치 |
- 2) LA의 배치
- LA는 LBS가 수직 또는 수평 설치되는 경우 가급적 반의 후면에 배치하여 LBS의 점검, 수리시 편리하도록 한다.
- 3) DS의 설치
- 7.2kV급 DS는 LBS 하부에 수직설치하여 전면에서 조작봉에 의한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다.
- 4) 피뢰기(LA) 및 SA 접지
- 피뢰기 및 SA의 접지는 1차측은 Flexible Bus Bar로 연결한 후 접지단자함에 반드시 단독 접지한다.
- 5) 모선배열
- 모선의 배열은 좌에서 우로, 위에서 아래로, 가까운 곳에서 먼곳으로 R, S, T, N상을 배열한다.
- 나. MOF반
- MOF(Metering Out Fit)와 PT(Potential Transformer)간의 절연 격벽(BMC 재질) 설치를 확인한다.
- 다. VCB반
- VCB(Vaccum Circuit Breaker)의 인출형 구조 및 SA(Surge Absorber)의 Flexible Bus Bar 연결을 확인한다.
- 라. 변압기반
- 1) 변압기 규격을 확인하고, 플렉시블 부스바 연결시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
- 2) 변압기 반입 및 유지보수시 이동이 용이하도록 전면 바닥 베이스 앵글은 조립식으로 제작하고 전면도어 측판을 변압기 교체 작업시 Open 시킬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3) 변압기 1, 2차 단자용 Bus Bar 규격이 모선 Bus Bar 규격과 동일하게 한다.
- 4) 변압기 1, 2차 단자용 Bus Bar는 접속모선과 동일한 재질인지 확인한다. 접속모선과 재질이 다른 경우 접착면에 전식이 발생하여 부식되므로 제작도면 검토시 동일 재질로 단자를 설치토록 요구한다.
- 2) 변압기 반입 및 유지보수시 이동이 용이하도록 전면 바닥 베이스 앵글은 조립식으로 제작하고 전면도어 측판을 변압기 교체 작업시 Open 시킬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마. TMS Box
- 1) 일반적으로 변압기 제작업체에서 공급하는 TMS(이상온도 경보장치) 박스를 변압기반 전면도어 일부를 절단한 후 설치하고 있으나 설치가 복잡하고 도어 개폐가 불량하거나 색상이 일치하지 않아 미관상 좋지 않다.
- 2) 변압기반 도어 측면에 부저, 표시등, 부저정지 푸시버튼을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을 변압기반 제작도면에 반영하고, 추후 변압기 제작업체에서 설치하도록 하면 변압기반과 일치하는 TMS System을 설치할 수 있다.
- 바. 저압반
- 1) 케이블 단말처리(결선 및 포박)가 미려하게 될 수 있도록 단자대 배치상태를 확인하고, 간선 규격에 의한 단자대의 단자규격이 적정한지 확인하여 케이블 접속시 터미널을 절단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 2) 급수펌프, 보안등용 계량기함은 한전에서 지급하는 계량기가 CT부일 경우를 대비하여 여유있게 제작한다.
- 3) ATS 및 ACB가 설치되는 저압반은 다수의 Bus Bar가 입출되므로 적정한 Bus Bar 간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특히 ACB 고장시 직결하는 TIE ACB의 Bus Bar 연결이 용이하도록 Bus Bar 간격, 절곡형태, 절곡위치 등에 주의하며, Tie Bus Bar를 함께 납품하도록 한다.
- 4) 저압반 상호 연결용 Bus Bar는 반 하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 2) 급수펌프, 보안등용 계량기함은 한전에서 지급하는 계량기가 CT부일 경우를 대비하여 여유있게 제작한다.
2.1.7 결선도
- 가. 설계확인
- 단선결선도를 설계도면과 비교 검토하여 누락여부를 확인한다.
- 나. 배선용 차단기 규격 확인
- 저압반 배선용 차단기 규격 및 단자대 규격을 확인한다.
2.1.8 한전 내선검토서 반영
한전 수용신청 후 받게 되는 내선 검토서 내용을 확인하여야 하며, 주로 MOF CT(Current Transformer) 비율과 VCB 1차측에 CT 설치 등이 설계와 상이하여 사용 전 검사 및 전력수전시 문제가 발생하므로 한전과의 협의한다.
- 가. MOF CT 정격용량 (표 9.3)
- 1) "제 1의 방법"
- 부하전류를 산출하여 MOF 용량을 구하는 방법으로 계약용량 850kVA, 수전전압 22.9kV인 경우 부하전류를 구하면
- 표 9.3 MOF 정격용량 선정표(전기설비 설계시공 데이터 자료 참고)
종 별 |
3상3선식 |
3상4선식 |
1차측 CT용량(A) |
비 고 |
기준전압(kV) |
20 |
12 | ||
실제전압(kV) |
22 |
13.2/22.9 | ||
계약최대 전력기준 (kW) |
173 |
180 |
5 |
KS, 한전규격 |
348 |
360 |
10 |
KS, 한전규격 | |
519 |
540 |
15 |
KS기준 | |
692 |
620 |
20 |
KS, 한전규격 | |
1,038 |
1,080 |
30 |
KS, 한전규격 | |
1,130 |
1,800 |
50 |
KS, 한전규격 | |
2,,596 |
2,700 |
75 |
KS, 한전규격 | |
3,460 |
3,600 |
100 |
KS, 한전규격 |
- 계약용량(kVA)
- I =---------------
- √3 ×수전전압(kV)×역률
- 850
- =---------
- √3 ×22.9×0.9
- = 23.8 (A)
- 따라서 MOF 정격용량은 정격전류의 직상위규격을 선정하여야 하므로 30/5(A)로 선정한다.
- I =---------------
- 2) "제 2의 방법"
- 한전의 경우 전력량계의 용량이 자가용 수용가의 부하용량에 비하여 너무 크거나 적으면,
- ① 과부하에 의하여 소손되거나
- ② 평상시 특성이 나쁜 경부하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 최대사용전류가 70∼100% 범위 내에 들도록, 아래식에 의해 MOF 정격용량을 선정하고 있다. (아래 표의 Data와 거의 일치하며 역산하면 1A당 약 36kW 정도가 된다)
- 변압기용량(kVA)×5배수
- MOF 정격용량 = -------------
- 180(kW)
- 【계산예 1】 수전설비용량이 1,150kW인 경우 MOF 정격용량은
- 1,150×5
- CT = --------
- 180
- ≒ 32 (A)
- 따라서 직상위 정격규격인 40/5(A)를 선정
- 【계산예 2】 수전설비용량이 1,440kW인 경우도 40/5(A) 선정
- ① 과부하에 의하여 소손되거나
- 나. 보호계전기용 CT
- 1) 최대 부하전류의 120∼150%로 계산하여 여유(안전공사와 협의 후 결정)를 주어야 하나 한전의 적용 기준은 MOF용 CT와 같게 하거나 보다 크게 선정하고 있다.
- 2) 예를 들어, 부하전류의 값이 28∼29(A)일때는 40/5로 선정하고 있다.
- 다. OCR선정기준
- 850 kVA
- 1) 전부하전류 =------- = 21.4 (A)
- √3 ×E
- 2) CT비 = 30/5 A
- 1×1.5
- 3) OCR 선정기준 전류 = 전부하전류 × --------
- CT비
- = 21.4×5/30×1.5
- = 5.35
- 1) 전부하전류 =------- = 21.4 (A)
- 이때 OCR 선정시 TAP전류가 중간이 위치하도록 선정한다.
- 4) OCR Tap Range는 3∼8(A), 4∼12(A) 중 3∼8(A)로 선정
2.1.9 기타
- 가. 제작도면 제출시 명판리스트를 작성하도록 하여 규격 및 내용을 확인한다.
- 나. 명판(Name Plate) 종류
- 1) 큐비클 명판
- 2) 저압반 MCB의 회로별 명판
- 3) ELD 회로 번호
- 2) 저압반 MCB의 회로별 명판
- 다. 장비 반입구 및 루트를 확인하여 변압기반의 경우 완제품 반입 또는 현장조립 여부를 확인하여 제작한다.
- 라. 특고압기기의 기기산정 기준 (표 9.4)
표 9.4 특고압기기의 선정기준
구 분 |
규격 표기방법 |
선 정 기 준 | |
LBS |
LBS 24kA 3P 630A (Fuse부 60A 12.5kA, 한류형) DS 7.2kV 1P 200A |
Fuse 규격 |
2In or 2In의 직상위 규격 |
MOF |
PT:22.9(13.2)kV/110V CT:40/5(25VA×3), 75In |
CT 과전류강도 |
CT 1차전류 60A까지 75In |
CT비 |
In or In의 직상위 규격 | ||
계기용CT |
CT×3 40/5A 40VA 12.5kA |
CT비:특고용 저압용 |
1.1In or 1.1In의 직상위 규격 1.3In or 1.3In의 직상위 규격 |
발전기 CT |
CT×3 10,000/5A 40VA |
CT비 |
(1.1In)×1.3or(1.1In)×1.3의 직상위규격 |
변압기 PF |
PF×3 25.8kV 200AF(30A) 12.5kA 비한류형 |
PF규격 |
1.3 ∼1.5In 적용 |
ACB |
ACB 3P 600V 1,250A(1064) 35kA |
과전류내용량 |
600A∼1,000A 미만:30kA 1,000A 이상∼1,600A 미만:35kA 1,600A 이상∼2,000A 미만:42kA 2,000A 이상:50kA |
차단기정격전류 |
In or In의 직상위 규격 | ||
TIE-ACB |
전등 VS 전등인 경우 전등 VS 동력인 경우 |
전등 ACB 중 작은 것의 1/2(프레임은 이에 따라 선정 전등과 동력 ACB 중 작은 규격 적용) | |
ATS |
ATS 4P(3P) 600V 1,000A |
동력변압기와 발전기 ACB 중 큰 규격 적용 | |
MCB |
MCB 3P(600V) |
수배전반용 |
고차단형(10kA 이상, 30AF는 5kA) |
MCB |
MCB 3P(600V) |
동력용 |
일반형 |
2.2 중간 제작감리
제작도면 승인시 내용 및 보완사항을 중심으로 철저히 확인, 검사하여 현장반입 후 자재 교체, 회로 수정이나 타공, 절단 등 함체의 변형이 없도록 한다.
- 가. 외관검사
- 1) 함의 도장 상태 및 치수
- 2) 철판 규격
- 3) 개구부의 위치 및 규격
- 4) 개구부 덮개(BMC) 설치
- 5) 문 개폐 및 잠금 상태
- 6) 도어와 함 크기의 일치
- 2) 철판 규격
- ① 내부설치식 힌지 사용:일치 가능
- ② 외부설치식 힌지 사용:도어간 이격(20mm 이상) 발생, 사용을 지양할 것
- 7) 베이스 찬넬과 함체 연결볼트의 스테인리스 제품 여부
- 8) 부스바 접속상태
- 부스바는 스테인리스 볼트를 이용하여 직접 접속한다. 황동제 클램프를 사용시는 진동, 이상전류에 의한 전자력 충격으로 파손 및 탈락이 우려되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 9) 차폐판 설치상태
- 10) 명판 부착상태
- 11) 운반용 인양고리 설치
- 10) 명판 부착상태
- 나. 회로검사
- 1) 회로의 색상구분 및 상별 순서
- 2) 제어회로 단자 결선상태
- 3) 특고압 모선의 이격거리 확인(특히, PF는 개로시 이격거리)
- 2) 제어회로 단자 결선상태
- 다. 부품검사
- 1) 시험성적서를 확인하여 적정자재 여부 확인
- 2) 기기의 형식, 종류, 수량 확인
- 3) 기기의 정격 계기류 눈금범위, "0"점 조정 및 성능, 등급 확인
- 4) 내장기기의 설치위치 확인
- 5) LBS, VCB, ACB, ATS 등의 개폐 및 보호계전기 동작시험
- 6) PF의 개폐 작업성 확인
- 7) TD 시험성적서 및 수치계산서(Table) 확보
- 2) 기기의 형식, 종류, 수량 확인
- 라. 회의록 작성
- 1) 제작 감리시 지적, 보완 내용은 회의록을 작성하여 확인한다.
- 2) 회의록 기재 사항
- ① 반입 일정
- ② 운반시 기기 보호대책
- ③ 지적, 보완사항
- ② 운반시 기기 보호대책
- 가. 건축공사 마감상태를 확인한다.
- 1) 출입문 설치 및 시건장치
- 2) 전기실 내벽 방수 및 도장
- 3) 환기구 창호 유리 끼움
- 2) 전기실 내벽 방수 및 도장
- 나. 장비 반입구의 장비반입 및 전기실까지 운반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 다. 진입도로 여건 및 관리동 주위 자재 정리 및 청소상태를 확인한다.
- 라. 반입시 기상 변화에 대비하여 비닐 등 보호장비를 확보한다.
- 다. 진입도로 여건 및 관리동 주위 자재 정리 및 청소상태를 확인한다.
2.3 수배전반 설치
2.3.1 반입전 확인사항
2.3.2 설치
- 가. 수배전반 설치상태검사 항목
표 9.5 수배전반 설치상태 점검내용
구 분 |
항 목 |
점 검 내 용 |
비고 |
특고반 |
1) 외 함 |
① 도장 벗겨짐, 오염, 손상, 녹발생 유무 ② 표시등, 각 계기, 절체개폐기 등의 부착상태 및 오염, 손상 유무 |
|
2) 표시등 |
① 작동상태 |
| |
3) 각 계기 |
① 전압, 전류, 역률, 무효전력, 최대수용전력 등의 지시치 확인 |
| |
4) 절체 개폐기 |
① 정상위치 확인 |
| |
5) 시건장치 |
① 잠금상태 확인 |
| |
6) 접지선 |
① 단선, 손상유무 ② 연결볼트 조임상태 |
| |
7) 피뢰기 |
① 오염, 손상, 균열, 녹 유무 ② 콤파운드의 이상유무 ③ 접지선의 단선, 손상유무 및 접속볼트 조임상태 |
| |
8) 진공차단기(VCB) |
① 각기구부위 손상, 변색 및 접속단자, 볼트조임상태 ② 조작기구 작동상태 ③ 절연셔터 설치 여부 |
| |
9) 모선(부스바) |
① 손상변색 및 애자의 오염, 균열 유무 ② 접속부위의 연결 및 조임상태 ③ 상별 모선간 이격거리 ④ 상구분 색상 표시 상태 |
| |
10) 보호 계전기 |
① 오염, 손상, 단자조임 상태 ② 작동시험 및 내부배선 부품 등의 손상 유무 |
| |
11) 계기류(지시 또는 기록계기) |
① 영점조정 확인 ② 계기류의 지시양부 확인 ③ 변성기, 변류기의 2차측 배선 탈락 및 연결 조임 ④ CT, PT의 시험단자(CTT, PTT) 설치 여부 |
| |
변압기반 |
1) 건식 변압기 |
① 충전부의 청소상태 ② 이상소음 및 냄새 유무 ③ 중성점의 접지선 탈락 또는 연결상태 확인 ④ 온도계의 지시 양부 ⑤ 방진 PAD 설치 여부 ⑥ 변압기 고정상태 |
|
2) 전력용저압콘덴서 |
① 이상소음 및 냄새유무 ② 손상, 변색유무 및 배선의 연결 상태(접지선 포함) |
| |
저압반 |
1) 기중차단기(ACB) |
① 각 기구부의 손상, 변색 및 접속 단자 볼트조임 상태 ② 조작기구 작동상태(자동 또는 수동) |
|
2) 배선용차단기 |
① 부착상태 및 연결단자 조임상태 ② 개폐동작상태 |
| |
3) 지시계기류 |
① 영점조정 확인 ② 지시치의 양부확인 ③ 변성기, 변류기의 2차측 배선 탈락 및 연결조임 상태 ④ CT, PT의 시험단자(CTT, PTT) 설치여부 |
| |
4) 모선 및 분기배선 |
① 각 상별 색상표시의 변색유무 ② 접속부, 분기부위의 조임상태 ③ 오염, 손상유무 ④ 접지용 부스바의 연결 및 고정 상태 |
|
- 나. 수배전반 설치상태검사 특기사항
- 1) 사용 전 검사를 대비하여 시험성적서에 의한 제작 일련번호 일치를 확인한다.
- 2) 수평 설치상태를 확인한다.
- 3) 볼트 조임 후 매직 로크 표시를 확인한다.
- 4) 각종 기기의 규격, 용량이 제작도서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 2) 수평 설치상태를 확인한다.
2.3.3 수배전반 설치 후 관리사항
- 가. 설치 후 자재관리
- 1) 관계자 외의 외부인이 큐비클 도어를 개폐할 수 없도록 시건장치의 잠금상태를 확인한다.
- 2) 자재가 도난, 훼손되는 일이 없도록 전기실의 출입 인원을 제한한다.
- 3) 강우, 강설 후에는 습기로 인한 절연저하, 접속단자 부위 부식이 발생하지 않도록 통풍 및 제습 장치를 설치한다.
- 4) 쥐 등이 들어가 지락 또는 단락 사고가 발생치 않도록 수배전반 하부 및 케이블 인출구 등 모든 개구부는 폐쇄한다.
- 2) 자재가 도난, 훼손되는 일이 없도록 전기실의 출입 인원을 제한한다.
- 나. 장마철 자재관리
- 수배전반이 지하층에 설치되므로 장마철 폭우에 의한 침수대책과 습기에 의한 기기 절연 저하대책을 수립한다.
- 1) 장비반입구 환기구 창문을 통한 우수 유입을 방지한다
- 2) 특고인입, 접지 배관을 통한 우수 유입을 방지한다.
- 3) 전기실 벽체 바닥 누수를 확인한다.
- 4) 우수 유입시 배수를 위한 임시용 배수 펌프를 준비한다.
- 5) 큐비클 내부 습기 제거를 위한 스페이스히터(Space Heater) 가동 및 백열등을 설치한다.
- 2) 특고인입, 접지 배관을 통한 우수 유입을 방지한다.
- 1) 장비반입구 환기구 창문을 통한 우수 유입을 방지한다
- 다. 동절기 자재관리
- 1) 화재예방을 위해 전기실 공동구 작업시 불통 지참을 금지한다.
- 2) 인화성 자재 보관을 금지한다.
- 3) 소화기를 비치한다.
- 2) 인화성 자재 보관을 금지한다.
2.4 시운전 및 조정
2.4.1 시운전 종류
- 가. 수배전반
- 1) 정전 및 복전시험
- 2) LBS 동작시험
- 3) 계전기 탭조정 및 동작시험
- 4) ACB 동작시험
- 5) ATS 절환시험
- 2) LBS 동작시험
- 나. 변압기
- 전압측정
2.4.2 수배전반 시운전
한전전원이 송전될 때에는 수배전반, 발전기 등 전력공급설비와 CRT 감시반, 승강기 등을 가동하여 종합적인 시운전을 감독 입회하에 실시한다.
- 가. 전력수전 당일 확인사항
- 1) 특고케이블 인입선과 예비회선의 결선 착오에 주의한다.
- 2) 수배전반 내부 전선자재, 공구 등 잔유물 여부 및 청소(Blower 사용)상태를 확인한다.
- 3) 저압 부스덕트함 내부 청소상태를 확인한다.
- 4) 접지단자함 및 수배전반 내 각종 접지선 결선 상태를 확인한다.
- 5) 기타 송전에 따른 위험요소 제거 및 위험표지 설치를 확인한다.
- 2) 수배전반 내부 전선자재, 공구 등 잔유물 여부 및 청소(Blower 사용)상태를 확인한다.
- 나. 배전계통 시험
- 1) 각 동별로 저압간선 전원투입 및 분전반별 부하측 전압을 각상별로 확인한다.
- 2) 부하전압을 확인하여 필요시 변압기 탭을 조정한다.(말단 부하전압이 220V보다 높을 경우 조명기구 등 가전제품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변압기 부하군별 평균치를 신중히 결정)
- 3) 펌프실, 기계실, 보일러실, 오수처리장 등의 3상 동력시설은 기기별로 회전방향 및 부하전류를 확인한다.
- 2) 부하전압을 확인하여 필요시 변압기 탭을 조정한다.(말단 부하전압이 220V보다 높을 경우 조명기구 등 가전제품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변압기 부하군별 평균치를 신중히 결정)
- 다. 연동 시운전
- 1) 한전전원 차단 및 복전시 발전기 자동운전상태 및 기동, 정지시간 타이머를 조정한다. (동력 ACB가 정전 차단시는 자동기동, 과부하 차단시는 자동기동되지 않아야 함)
- 2) 발전기에 의한 실부하시험을 한다. (전압, 동력회전방향, 펌프실 대용량 전동기 가동상태 등)
- 3) 발전기 실부하시험시 발전기실 흡, 배기시설 및 배기관, 덕트 등 진동상태를 확인한다.
- 2) 발전기에 의한 실부하시험을 한다. (전압, 동력회전방향, 펌프실 대용량 전동기 가동상태 등)
- 라. 중앙감시계통 시험
- 1) 승강기,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 등 중앙감시대상 시설을 동시 가동시켜 종합적인 운전상태 및 UPS 작동상태 등을 점검한다.
2.5 수전 후 관리
수전 후에는 수배전반, 동력반, 변압기 등의 이상음 발생과 변색, 열화유무를 수시로 확인하여 접촉불량 등의 사고를 예방한다.
3.. 변압기반 공사
3.1 제작도면 검토 및 승인
- 가. 기타 제작도면 체크리스트
표 9.6 제작도면 체크리스트
항 목 |
내 용 |
비 고 |
1. 설치조건 |
주위온도, 옥내·외형 여부 확인 |
|
2. 적용규격 |
일반특성은 한국산업규격(KS), 한전규격, 전기협동조합규격(KEMC)에 의하며 특기사항은 IEC와 JEC규격에 준하여 확인 |
|
3. 상수 |
3상 또는 단상여부 |
|
4. 정격용량 |
표준용량 및 용량적정 여부 |
|
5. 전 압 |
1차, 2차측 전압확인 및 1차측의 탭전압 확인 |
3ø, 22.9kV /380V/220V |
6. 결 선 |
3상의 경우 1, 2차측 결선을 △ 또는 Y로 구분 하고 고저압 혼촉방지판 부착여부 확인 |
|
7. 주파수 |
60Hz |
|
8. 전압절환방식 |
무전압시 용이하게 조작할수 있는 구조 확인 |
무전압탭절환방식 적용 |
9. 부하조건 |
연속 또는 단시간 정격여부 |
연속정격 적용 |
10. 벡터도 |
1, 2차간의 결선은 △-Y이므로 각변위 표시 상태 확인 |
|
11. 수량 |
변압기 용량별 수량확인 |
|
12. 전기적 특성 |
지정되는 경우 %Z 등 확인 |
|
13. 온도상승 |
권상상승온동 120℃ 이하 |
|
14. 베 이 스 |
하부 Base 구조확인 |
|
15. 도 장 |
Munsell No로 지정(주로 N-7 또는 5134/2 적용) |
|
16. 취부부속품 |
사용용도에 따라 필요부속품 확인 명판 1, 2차 단자 접지단자 무전압 탭절환 단자 인양고리 다이얼 온도계 온도검지소자 및 접점 이상온도 경보장치 |
|
17. 특기사항 |
납품시 제출서류 등 확인 공사범위 확인 하자보증기간 확인 |
시험성적서 제작도면 관리요령서 |
- 나. 부스바 규격
- 변압기 제작업체에 따라 1, 2차측 단자 부스바의 규격 및 변압기 부스바와 플렉시블 부스바의 규격이 상이할 수 있고 부스바 위치가 플렉시블 부스바와 연결하기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으므로 제작도면 승인시 반영한다.
- 특히 변압기 2차 1상당 2가닥 이상의 케이블을 직접 연결하는 경우에는 접속상태와 미관을 고려한 Hole 가공에 유의한다.
- 다. 이상온도 경보장치
- TMS(이상온도 경보장치)는 TMS 박스를 설치하지 않고 수배전반 제작도면 승인시 반영한 변압기반 도어 측판에 설치한다.
3.2 변압기 설치
3.2.1 반입 전 확인사항
- 가. 진입도로 여건은 현장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화하므로 진입도로의 여건과 장비반입로에 장애요인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 나. 장비운반전문업체와의 계약여부를 확인한다.
3.2.2 변압기 설치시 유의사항
- 가. 변압기의 진동이 구조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2mm 정도의 고무판을 변압기 지지대와 콘크리트 바닥 사이에 설치한다.
- 나. 변압기반 모선 부스바와 변압기 단자 부스바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부스바는 허용전류와 이격거리를 감안하여 적합한 규격품이 설치되도록 한다.(수배전반 제작업체 제작 설치)
- 다. 변압기 중성선 단자 처리
- 나. 변압기반 모선 부스바와 변압기 단자 부스바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부스바는 허용전류와 이격거리를 감안하여 적합한 규격품이 설치되도록 한다.(수배전반 제작업체 제작 설치)
- 1) 변압기 중성선 단자가 상부에 있는 경우 접지선이 변압기 드럼에 닿지 않도록 한다.
- 2) 변압기 중성선 단자가 하부에 있는 경우 플렉시블 부스바가 다른 상에 닿지 않도록 한다.
- 라. 변압기 설치 후 1, 2차 모선 연결작업시 사용한 Bolt, 와셔류가 변압기 권선드럼 내부에 떨어져 권선간 국부단락을 일으키는 사고의 우려가 있으므로 시운전 전에 휴대용 전등을 이용하여 권선드럼 내 이물질 침입 여부를 확인한다.
4.. 발전기 공사
4.1 제작도면 검토 및 승인
발전기 제작도면은 발전기 구입 시방서에 의한 일반사항, 자재의 성능 및 구성품 등을 확인한다.
4.1.1 제작도면의 종류
- 가. 외형도
- 나. 회로도 (자동운전 및 보호회로, 엔진 예열회로 포함)
- 다. 운전반 상세도 (외관, 내부구조, 결선계통도)
- 라. 발전기 설치도면
- 나. 회로도 (자동운전 및 보호회로, 엔진 예열회로 포함)
4.1.2 외형도
- 가. 발전기 출력은 설계도면에 연속출력만을 기재하므로 통상 비상발전기의 출력은 비상출력으로 표기함과 착오가 없도록 주의한다.
- 나. 디젤엔진은 4행정(1,800RPM) 방식이다.
- 다. 발전기 연도규격을 확인한다.
- 라. 발전기 단자함 인출 위치를 확인한다.
- 나. 디젤엔진은 4행정(1,800RPM) 방식이다.
4.1.3 회로도
- 가. 연동회로 확인
- 정전시 수배전반과의 자동운전 및 화재시 수신반과의 자동, 수동 운전 회로를 확인한다. (표준상세설계도 참조)
4.1.4 발전기운전반 상세도
- 가. ACB는 2차측 배선이 패널 상부로 인출되기 때문에 2차측을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나 반드시 1차측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 나. TD는 수배전반업체에서 선정한 제품과 동일회사 제품을 사용한다.
- 다. 자동충전장치가 패널 내장형 또는 별도 설치형인가를 확인하여 내장형인 경우 배관배선(IV5.5mm3×2,(ST16))을 삭제한다.
- 나. TD는 수배전반업체에서 선정한 제품과 동일회사 제품을 사용한다.
4.1.5 발전기 설치도
- 가. 발전기 설치는 보통 운반 및 설치를 전문회사에 하도급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설치도면이 누락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제작도면 승인시 설치 도면도 함께 승인될 수 있도록 한다.
- 나. 옥외전기공사 발주전에 관리동 지하층 옹벽작업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옥외전기 공사 발주 전이라도 건축도면을 확보하여 급·배기, 배연, 급유, 배수가 가능하도록 발전기실 기기배치 및 연도계획을 수립한다.
- 다. 보일러실이 있는 지구
- 나. 옥외전기공사 발주전에 관리동 지하층 옹벽작업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옥외전기 공사 발주 전이라도 건축도면을 확보하여 급·배기, 배연, 급유, 배수가 가능하도록 발전기실 기기배치 및 연도계획을 수립한다.
- 1) 연도가 수평 또는 완만하게 상승하면서 설치될 수 있는지 확인한다.
- 2) 유류탱크 자동급유 및 배관공사를 확인한다.
- 3) 유류탱크 자동급유를 위한 기계배관을 확인한다. (발전기실 내 경유배관, 볼탑설치 및 연료주입구 연결공사는 기계공사 시공분)
- 2) 유류탱크 자동급유 및 배관공사를 확인한다.
- 라. 보일러실이 없는 지구 (기계공사와의 협의사항 없음)
- 1) 발전기 연도는 관리동 건물에 전용연도(굴뚝)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2) 경유 배관 규격 및 루트를 확인한다.
- 마. 유류탱크는 시, 군 조례를 확인하여 가능한 크게 제작한다.
4.1.6 엔진출력
- 가. 발전기와 엔진은 각각의 출력을 다음식으로 나타낸 정합률로 확인하여 해당값이 1 이하와 0.7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7 ≤ MR ≤ 1.0)
- 나. 정합률이 1을 넘는 경우에는 엔진출력이 부족한 경우이므로 적정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 G×COSθ
- --------
- 0.736×ηG
- MR =-------
- E
- 단. MR:정합률 G:발전기 출력(kVA)
- COSθ:발전기 정격 역률(0.8) ηG:발전기 효율
- E:엔진출력(PS)
- --------
4.2 중간제작감리
4.2.1 검사내용
- 가. 발전기 단자함 인출 위치 확인
- 발전기 제작도면 승인시 확인한 사항이나 반대편으로 단자함이 인출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필히 확인한다.
- 나. 엔진 운전반 설치위치를 확인한다. (전면 설치)
- 다. 발전기 및 엔진 명판 기재 내용을 확인한다.
- 라. 제작도면 승인시 보완사항 조치 결과를 확인한다.
- 마. 시험 성적서의 시험결과를 확인한다.
- 바. 회의록을 작성한다.
- 다. 발전기 및 엔진 명판 기재 내용을 확인한다.
4.3 발전기 설치
4.3.1 반입
발전기의 현장 반입을 보통 수배전반의 반입 직전이나 직후에 반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배전반 반입 전 확인사항을 참조한다.
4.3.2 발전기 설치
가. 발전기는 배관 위치와 발전기 단자위치가 일치하도록 설치하고 방진스프링은 설계수량 이상을 설치한다.
나. 발전기 냉각수는 부동액을 사용한다.
다. 발전기에 연결되는 주회로의 단자반은 진동에도 풀리지 않도록 스프링와셔, 2중볼트를 사용하며, 단자반에 접속되는 배관은 플렉시블을 사용하거나 또는 접속을 분리하여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라. 기동용 축전지는 받침대를 제작 바닥에 설치하되 진동이 심한 발전기 기초위 설치는 지양한다.
4.3.3 연도 설치
가. 연도 파이프 설계 규격이 발전기 제작회사 규격보다 크므로 소음기(Muffler) 2차측부터 확관하여 설치한다.
나. 연도가 벽체를 관통할 경우 양측에 신축이음(Expansion Joint)을 설치한다.
다. 연도에는 보온을 실시하여 연소열의 전달로 인한 발전실내의 온도상승을 억제하여야 하며, 보일러 설치 지구는 보일러 매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댐퍼를 설치한다.
라. 연도 파이프는 지붕선까지 설치한다.
마. 연도의 방진행거는 발전기 운전시 진동에 견딜 수 있도록 견고하게 설치하며 연도의 굴곡부분은 반드시 양단에 설치한다.
바. 연도는 굴뚝방향으로 수평 또는 상향배관이 되도록 설치한다.
4.3.4 유류탱크 설치
- 가. 발전기 유류탱크는 벽면과 500mm 이상 이격하여 급유배관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한다.
- 나. 유류탱크 주위는 누유방지턱을 설치하고 모래를 채운다.
- 다. 보일러실이 있는 경우 유류의 넘침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식 밸브를 설치하여 발전기와 연동되도록 한다. (대부분 보일러실 경유탱크에서 자연유압으로 공급됨)
- 나. 유류탱크 주위는 누유방지턱을 설치하고 모래를 채운다.
|
그림9-3 유류탱크용 전자식 밸브의 설치 |
- 이때, 급유탱크 유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Float를 사용한다.(Floatless Type에 의한 전극봉 사용 지양)
- 라. 통기관(Vent Pipe)은 환기구(DA)를 통하여 환기구 상부에 설치(MH 4,000)하며 입구는 보호망 처리한다.
- 마. 주유배관(중앙난방(가스사용), 개별난방, 지역난방 지구)도 환기구를 통하여 환기구 상부에 설치(MH2,000)하며 입구는 마개를 씌운다
4.3.5 배관, 배선 공사
- 가. 간선, 조작회로, 접지배관은 무근 콘크리트 타설시 와이어메시 상부에 결속선으로 고정한다.
- 나. 발전기측 간선 배관은 플렉시블배관을 이용하여 단자대와 직접 연결한다. (이 경우 발전기 단자함 커버를 크게 제작하여야 함)
- 다. 운전반측 간선배관은 ø104 파이프 노멀밴드의 길이가 645mm(KS C 8406)이므로 누름 콘크리트(두께 150mm)에 매입하면 곡면부분이 노출되어 주변마감이 곤란하고 미관도 좋지 않으므로 누름콘크리트 타설 전에 300×300×300 정도의 풀박스를 설치하고 여기에 발전기로 연결되는 다른 배관과 함께 ø104 전선관을 직접 연결하면 깨끗하게 마감할 수 있다.(시공상세도 참조)[그림 9.4 ]
- 나. 발전기측 간선 배관은 플렉시블배관을 이용하여 단자대와 직접 연결한다. (이 경우 발전기 단자함 커버를 크게 제작하여야 함)
4.4 시운전 및 조정
발전기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수배전반 설치와 관계없이 시운전이 가능하므로 감독원 입회하에 시운전하고, 운전 및 간단한 고장처리 요령을 숙지하여 비상시에 대처한다.
|
그림9-4 운전반 인입 배관 |
4.4.1 시운전 종류
가. 시동 및 정지시험(자동, 수동)
나. 상회전방향 확인
다. 전압측정
4.4.2 발전기 시운전
가. 발전기 운전 및 엔진운전반의 각종 계기의 정상 작동여부를 확인한다.
나. 발전기 운전반의 계측 및 상태 제어용 단자를 확인한다.(도면에 명기되어 있으나 착오를 일으킬 수 있다)
다. ATS반과의 정전, 복전용 배선 규격(CCV 1.6mm×2c) 및 단자명판을 확인한다.
라. 발전기 보호장치 동작 시험을 한다.
마. 한전 복전시 발전기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약 3∼5분간 공회전 후 정지하도록 타이머(Timer)를 조정한다.
바. 수배전반 ATS와 자동절환시험은 수배전반이 설치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가 신호로 확인한다.
사. 발전기는 비상시 정상가동을 위하여 시운전 후 인계시까지 주 1회 정도 시험가동을 하여야 한다.
5.. 옥외전기공사
5.1 부스덕트공사
5.1.1 제작시기
부스덕트는 수배전반 제작업체에서 제작하는 것이 완벽한 접속이나 외함 색상과의 일치를 위하여 바람직하나 제작업체가 상이할 경우 수배전반 반입완료 후에 제작에 착수하여 설치시 오차가 발생치 않도록 유의한다.
5.1.2 설치
가. 부스덕트를 별도 업체에서 제작할 경우 수배전반 제작도면 상세도를 근거로 실측하여 정확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나. 부스덕트 규격은 단선 결선도에 의하여 확인한다.
다. 부스덕트는 중간에서 연결하지 않아야 하며 부득이 연결할 경우 스테인리스 볼트 및 스프링 와셔를 사용하여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한다.
라. 부스덕트 외함은 측면과 하면을 타공하여 방열 구조로 하며, 타공은 상세도에 의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다.(상부 타공시 먼지오염)
마. 부스덕트 상간 또는 외함간 이격거리는 표준 상세설계도에 의한다.
5.1.3 청소
부스덕트의 설치가 완료된 후 덕트커버를 개방하여 덕트 내 청소상태를 반드시 확인한다. (시공시 부주의로 공구방치 등에 의한 절연파괴 방지)
5.1.4 절연측정
부스바는 습기 발생시 절연이 급격하게 저하할 수 있으므로 수전 전에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확인한다.
5.2 전력인입공사
5.2.1 개요
전력인입공사는 맨홀을 설치하여 주상 또는 PAD Gear S/W로부터 전기실까지 전력간선을 인입하고 있으나, 시공 부주의에 의한 누수가 항상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어 철저한 시공관리가 필요하다.
5.2.2 옹벽 관통 슬리브 시공
가. 인입관로 부위 옹벽 거푸집 설치시 강관슬리브 또는 PVC 슬리브(104ø×2EA)를 미리 준비하였다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한다. 이때 관 내부는 콘크리트가 침투하지 않도록 관 내부를 폐지로 막고 슬리브는 철근에 고정한다.
나. 슬리브는 외벽쪽으로 200mm 이상 돌출되도록 하여 외벽방수 및 방수보호조적(0.5B) 후에 배관연결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다. 관통슬리브 내부쪽에 커플링을 연결하면 풀박스 설치 후 배관에 로크너트 및 부싱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5.2.3 연결 배관
가. 슬리브의 외부는 맨홀(핸드홀) 위치까지 강관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안등 관로등 전선관 규격이 작을 때는 PVC관을 강관에 끼워 넣을 수 있으나 반드시 접착제를 도포하여 물기 침투를 차단한다.
나. 슬리브의 내부는 풀박스(600×600×600)를 설치하여 로크너트 부싱 마감하며, 풀박스에 유입된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배수관을 변전실 바닥(배수 트렌치)까지 시공한다.
|
그림9-5 전기실 누수 유도용 배관 |
5.2.4 배관 관통부위의 누수대책
|
그림9-6 맨홀 설치도 |
- 가. 옹벽과 슬리브 틈새의 방수불량에 의한 누수
- 옹벽공사시 강관슬리브 또는 PVC 슬리브를 매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근본적으로 누수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거푸집을 관통하여야 하므로 건축과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 나. 맨홀(핸드홀)이나 배관에 유입된 물의 전선관을 통한 누수
- 옹벽관통부위 배관의 입선 후에는 코킹을 밀실하게 채워 맨홀(핸드홀)이나 배관에 유입된 물이 전선관을 타고 흘러 들어오는 것을 차단한다.
- 다. 시공 후 맨홀 침하에 의한 누수
- 맨홀(핸드홀) 시공 후 지반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맨홀(핸드홀) 거푸집 설치 전에 흙 다짐을 충분히 하고 반드시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5.2.5 배관경로 검토
분양용지(유치원, 종교, 파출소, 학교부지 등)를 배관이 통과하지 않도록 한다.
5.3 전력제어공사
- 가. 전력제어배관
- 1) 전기실 제어배관 시공 전에 수배전반 배치도에 의하여 수배전반 위치를 먹선놓기하여 표시한다.
- 2) 전기실 바닥으로 시공하는 접지 및 제어배관은 무근 콘크리트 타설시 와이어메시 상부에 결속선으로 고정한다.
5.4 특고 케이블헤드의 시공
전력인입시 특고 케이블헤드(일반적으로 "종단접속재"라 함)를 이용한 특고 케이블 단말 처리는 비교적 고난도의 기능을 요구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전에서 실시하는 소정의 교육을 필한 자격증 소지자가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시공시에는 감독원이 입회하여 전체 과정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4.1 케이블헤드의 구조
|
그림9-7 케이블 헤드의 구조 |
5.4.2 시공시 유의사항
가. 케이블 차폐층과 절연층에 상처를 내서는 안된다.
나. 케이블 도체에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방수 처리한다.
다. 반도전층을 확실히 제거 후 찌꺼기 등을 세척포를 사용하여 완전히 제거한다.
라. 케이블 차폐층 접지를 완벽하게 한다.
5.4.3 시공순서
|
그림9-8 케이블헤드의 시공순서 |
|
그림9-9 처리 완료된 케이블 |
가. 케이블을 작업위치에 고정시키고 케이블 끝이 직각이 되도록 자른다.
나. "A" 길이 만큼 외피를 벗겨낸다.
사용케이블 |
"A"(mm) |
38mm2 |
370 |
60mm2 |
다. 외피끝 중성선 부위를 동바인드선으로 2~3회 감고 외피 위쪽 50mm를 방수테이프를 늘리면서 2회 감는다.
라. 중성선을 방수테이프가 감긴 위로 젖힌 다음 50mm 지점에 동바인드선으로 2~3회 감고 중성선을 한군데로 모아 묶는다.(이때 중성선이 방수테이프 사이로 묻히도록 할 것)
마. 외부 반도전층을 "B"길이 만큼 남겨두고 벗겨낸다.
사용케이블 |
"B"(mm) |
38mm2 |
25 |
60mm2 |
바. 절연체를 "C"길이 만큼 벗겨내고 절연체 끝부분을 2mm 정도 둥글게 깎아 접속재 삽입이 쉽도록 한다.
사용케이블 |
"C"(mm) |
38mm2 |
90 |
60mm2 |
사. 절연체를 반도전층 찌꺼기가 남아 있지 않도록 세척포로 깨끗이 닦아낸다.(케이블 세척시 반도전층과 절연층을 분리하여 닦는다)
아. 하우징을 힘껏 돌리면서 중성선 부위까지 끼운다.(절연체 표면에 실리콘 그리스를 충분히 발라 삽입이 용이하게 하고 수분침투를 막는다)
자. 하우징을 끼운 후 절연층 끝과 하우징 위쪽이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원형 평와셔를 끼운다.(평와셔는 접속재가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함)
차. 스트레스콘 접지구멍 밑에서부터 젖혀진 중성선의 50mm 지점까지 방수테이프를 늘리면서 반 겹쳐 2회 감아주고, 방수테이프 위에 비닐테이프를 반 겹쳐 2회 감아준다.
카. 동바인드선으로 접지구멍에 끼워 중성선에 연결한다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누전점검요령 (0) | 2015.01.15 |
---|---|
[스크랩] 초보자를 위한 누전차단기의 이해 (0) | 2015.01.15 |
[스크랩] IV전선 허용전류 구하는 공식 (0) | 2015.01.15 |
[스크랩] 전등 결선 - 스위치 결선 (0) | 2015.01.15 |
[스크랩] 전등누전 찾기... 등기구, 차단기, 점검구, 전등박스, 석고보드...펌 (0) | 2015.01.15 |